오늘부터 진행하는 기존 온누리상품권 10프로에서 15프로로 증가하는데 이걸 놓치면 안되죠!!
그럼 온누리상품권이 무엇일까??
온누리상품권의 정의
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과 상점가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발행한 상품권으로, 소비자가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종류:
종이형, 카드형, 모바일형(디지털 상품권)
목적:
전통시장을 지원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도구.
---
온누리상품권 사용처
1. 전국 전통시장과 상점가:
가맹점 스티커가 부착된 점포에서 사용 가능.
예: 음식점, 의류점, 식료품점, 생활용품점 등.
2. 온라인 전통시장:
온누리전통시장 쇼핑몰 등 디지털 상품권 가맹 온라인 플랫폼.
3. 사용처 확인 방법:
온누리상품권 공식 홈페이지 또는 ‘전통시장 통통’ 앱에서 가맹점을 검색.
온누리상품권 사용 방법
1. 종이 상품권:
은행(농협, 신한, 우리 등)에서 구매 후, 가맹점에서 직접 결제.
잔액은 현금으로 거스름돈 지급.
2. 카드형 상품권:
전용 카드 발급 후 충전해서 사용.
가맹점에서 카드 결제 가능.
3. 모바일 상품권:
온누리상품권 앱이나 은행 앱에서 구매 후 QR코드 또는 NFC 결제로 사용.
온누리상품권 할인 방식
1. 할인율:
2025년 설 명절 특별 할인: 기존 10% → 15%로 상향.
2. 적용 방법:
구매 시 할인 금액이 자동 적용.
예: 10만 원권 구매 시 15% 할인 → 8만 5천 원에 구매 가능.
3. 구매처 및 방식:
종이형 상품권: 은행 창구에서 현금 구매.
카드형/모바일형 상품권: 전용 앱 또는 은행 앱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구매.
4. 구매 한도:
1인당 월 200만 원까지 구매 가능.
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음.
5. 할인 적용 기간:
2025년 1월 10일 ~ 2월 10일
소득공제 혜택
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한 금액에 대해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소득공제율:
전통시장에서 결제 시 사용 금액의 40% 공제.
적용 조건:
상품권 구매 및 사용 내역을 정확히 기록.
디지털 상품권은 자동으로 소득공제 반영 가능.
요약
온누리상품권: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상품권으로, 종이, 카드, 모바일 형태 제공.
사용처: 전국 전통시장과 일부 가맹 상점, 온라인 전통시장.
사용방법: 종이형은 현장 결제, 카드형/모바일형은 전자 결제.
할인혜택: 2025년 설 명절 한정 15% 할인(월 최대 200만 원 구매 가능).
소득공제: 결제 금액의 40% 소득공제 가능.
이번 설 명절에는 온누리상품권을 활용해 전통시장 물품을 저렴하게 구매하면서도 소득공제 혜택까지 챙길 수 있습니다!
200만원 구입시 170만원에 구입할수 있으니깐 생활에 도움 되면 좋겠습니다!!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동차세 연납제도 및 절약 팁 (1) | 2025.02.01 |
---|---|
통신비 절약 방법 – 월 50% 아끼는 실전 가이드 (4) | 2025.02.01 |
도시가스 요금 할인받는 방법 팁 (2) | 2025.01.31 |
2025년 연말정산 준비 및 정리 (2) | 2025.01.08 |
플리오 안마기 V3 사려고 정보를 캐는중. (1) | 2025.01.07 |